파이썬 문자열 슬라이싱 잊어버리기 쉬운 기초 응용 정리

오랜만에 파이썬 기초를 공부 하고있다, 초보때 물론 공부를 했지만, 뭐랄까 너무 모를때 공부했던건 쉽게 잊는거 같다

그래서 다시 기초를 공부중인데, 대부분 아는 내용이지만, 잊어버리고, 코딩할때 사용하지 않았던 파이썬 문자열 슬라이싱을 정리하고, 나중에 코딩할때 참고하거나, 잊어버릴때 종종 와서 보려고 정리한다

사실 대부분 아는 내용이라서 정리할게 많지는 않다


글의 목차


응용1 – 문자열에서 마지막 글자 빼고 가져오기

a = "hello world"
print(a[0:len(a) -1])
# 결과 값 hello worl

아마 아예 코딩 초보가 아니라면, 딱보면 무슨 이야기인지 안다

보면 모를수가 없지, 다만, 코딩할때 필요한 경우가 있으에도 다른 방법으로 사용을 했던거 같다

a[0:len(a) -1] 의 해설은

“hello world” 문자열의 마지막 글자를 빼고 리턴하는 슬라이싱이다.

해당 코드를 실행한 결과

응용2 – 문자열을 가져올때, 규칙 정하기 – 한칸 띠고 가져오기

a = "abcdefg"
print(a[::2])

쉬운 이해를 돕기위해 abcdefg 문자열을 변수 a로 선언 하였다.

코드의 핵심 [::2] 중에서 2라는 숫자다

해석은

모든 문자를 가져오되, 2칸마다 가져오라는 코드

a가져오고, 한칸 띠고, c 가져오고, 한칸 띠고 e 가오고 한칸 띠고 g를 가져온다

실행코드 와 출력 코드

응용3 – 문자열 가져올때 규칙 정하기 – 문자열 거꾸로 가져오기

a = "abcdefg"
print(a[::-1])

해당 코드는, 간단하게 문자열을 거꾸로 출력하는 코드다

슬라이싱으로 문자열을 가져오는 규칙을 -1 로 정하면 뒤에서부터 출력해준다

코딩 실행 결과

[ 알짜배기 정보 공유하기 ]

Leave a Comment